Daum 팟플레이어를 사용하여 동영상을 gif 파일로 만들기(동영상을 움짤로 만들기, gif 파일 제작, 움짤 제작)
Daum 팟플레이어의 '동영상 캡쳐' 기능을 사용하여 GIF 파일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팟플레이어를 실행하여 GIF 파일로 만들고자 하는 동영상 파일을 '열기(재생)' 합니다.
동영상 파일을 열고 난 후에 GIF로 만들고자 하는 동영상의 시간 시작 위치가 어디인지에 따라서
'일시 정지' 또는 '멈춤' 버튼을 눌러서 동영상의 재생을 멈춥니다.
동영상의 처음 부분(재생 시간 0:00:00) 부터 GIF 파일로 만들려면,
'멈춤' 버튼을 눌러서 팟플레이어 화면에 '팟플레이어' 로고가 나타나는 '멈춤' 상태가 되도록 합니다.
만약 동영상의 처음 부분 부터가 아닌, 재생시간 0:00:15 부터 GIF를 만들려면,
재생시간 0:00:05 쯤 되었을 때 '일시 정지' 버튼을 눌러서,
GIF 파일의 시작 지점이 될 부분의 몇 초 전 시점(시간)에 '일시 정지'를 해 놓습니다.
시간이 0:00:05 쯤에 '일시 정지' 상태인 채로 있어야,
0:00:15 가 되었을 때 여유롭게 동영상 캡쳐를 시작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손동작이 빠르시다면 0:00:10 에서 '일시 정지' 했다가 동영상 캡쳐를 하셔도 됩니다.
혹시나 제가 위에서 설명한 것이 이해가 되지 않는다면,
이해가 되지 않아도 큰 문제는 없으니 다음 단계로 넘어갑니다.
팟플레이어는 팟플레이어에서 재생되는 영상을 캡쳐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혹시나 영상 캡쳐 기능이 없다면, 팟플레이어 업데이트를 하거나 팟플레이어를 삭제하고 다시 설치해보세요.)
팟플레이어 위에 마우스 커서를 올려놓고 오른쪽 마우스 버튼을 클릭 >
나타나는 메뉴에서 '영상' > '동영상 캡쳐' > '동영상 캡쳐'를 클릭.
※ 단축키인 Alt + C 로써 '동영상 캡쳐' 창을 여는 방법도 있습니다.
[동영상 캡쳐] 창이 나타나면 '저장 설정' 섹션에서 캡쳐된 동영상이 저장되는 경로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동영상이 저장되는 경로는 기본적으로
C:\Users\사용자명\AppData\Roaming\PotPlayer\Capture
으로 설정되어 있고,
동영상 저장 경로 옆에 있는 [ ... ] 점 세개 찍힌 버튼을 클릭하여 사용자 본인이 편리한 경로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출력 설정' 섹션의 '파일 포맷' 항목을 GIF로 설정합니다.
'출력 설정' 세션의 '영상 크기' 항목을 '원본 그대로'에서 '320x240'으로 변경합니다.
동영상 원래 크기와 같은 크기, 즉 원본 크기의 GIF 파일을 만들려면
'영상 크기' 항목을 '원본 그대로' 설정 그대로 두고 캡쳐하면 됩니다.
고화질 영상(동영상의 가로, 세로가 큰 것)은 '원본 그대로' 의 크기로 캡쳐를 하면
1, 2초 남짓 캡쳐하여 완성된 GIF 파일라도 용량은 10MB(메가바이트)가 훌쩍 넘기 때문에
캡쳐되는 GIF 파일의 용량을 줄이려면, 되도록 '영상 크기'를 작게 설정하고 캡쳐하는 것이 좋습니다.
저는 0:00:00 부터 캡쳐를 해보겠습니다.
0:00:00 부터 캡쳐를 시작해야 하니, 팟플레이어의 '정지' 버튼을 눌러서 플레이어를 '정지' 상태로 둡니다.
플레이어의 '재생' 버튼을 누르면, 팟플레이어 화면에 빙글 빙글 돌아가는 모양이 나타나다가 동영상이 재생됩니다.
재생 버튼을 누른 후에, 마우스 커서를 재빨리 '동영상 캡쳐' 창의 '시작' 버튼 위에 올려둡니다.
빙글 빙글 돌아가는 모양이 끝날 때 쯤 '시작' 버튼을 눌러서 영상 캡쳐를 시작 합니다.
정상적으로 GIF파일 캡쳐가 진행되고 있다면 '정보'섹션에 '파일명, 저장 시간, 용량'이 표시되고 캡쳐가 진행되는 동안 실시간으로 '저장 시간, 용량'의 변화 상황을 나타냅니다. 캡쳐를 끝내야 하는 시점이 되었다면 '종료' 버튼을 눌러서 캡쳐를 종료 합니다. '시작/종료' 버튼 옆의 '저장 폴더 열기' 버튼을 누르면 저장된 GIF 파일이 위치한 경로의 폴더가 나타납니다.
C:\Users\사용자명\AppData\Roaming\PotPlayer\Capture 동영상 저장 폴더에
'20160501_213905.GIF' 파일이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160501_213905.GIF' 파일 이름의 의미는
'2016년 05월 01일_21시 39분 05초에 생성된 GIF 파일'이라는 것 입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아래 그림, 윈도우 탐색기 아래 부분의 정보를 보니
GIF 파일의 사진 크기가 캡쳐할 때 지정한 크기인 320x240 이 아니라, 426x240 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왜 그런 것일까요? 저도 정확한 이유는 모르겠으나,
아마도 캡쳐 대상이 되는 동영상의 비율이 320x240 의 비율과 일치하지 않아서,
세로 길이인 240에 중점을 두고, 세로 길이의 비율에 맞춰 가로의 길이도 자동변경되어 캡쳐된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캡쳐 설정값과 다른 크기의 GIF가 생성된 이유에 대해서는,
추후에 계속 GIF 만드는 작업을 하다가 이유를 알게 되면
내용을 추가하도록 하겠습니다.
혹시나 이유를 알고 있는 분께서 이 글을 읽으셨다면,
댓글로 이유를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럼 이만~ 히히힝~
'컴퓨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